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자동차용 무선 업데이트(OTA) 정의 및 기능, 향후 전망

by Backtothe30 2022. 6. 20.

자동차는 기계적 요소에서 이미 전기전자적 요소로 많이 변경되었고 환경차, 전기차가 발전함에 따라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이에 스마트폰에 적용된 무선 업데이트(OTA: Over The Air)도 중요한 기술로 일부 적용되고 있지만 더 발전하여 운전자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OTA

OTA는 Over-the-air의 약자로 스마트폰처럼 무선으로 자동차 제어기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자동차에서 OTA가 널리 보급되어 기본 장착된다면 운전자는 굳이 정비소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자동차 제어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쉽게 진행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편리할 것입니다. OTA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2030년까지 96% 이상의 차량에 기본 장착되어 공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종류

OTA 기술은 크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운전 제어 시스템으로 분류되어 적용됩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자동차 본연의 기능과 안전 측면에서 필수적이지 않은 내비게이션, 스트리밍 서비스, 자동차용 애플리케이션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말하며 자동차의 보다 즐겁고 편리함을 소프트웨어 무선 업데이트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이지만 이미 많은 차량의 내비게이션 업데이트의 경우 무선으로 데이터를 받아 운전자가 쉽게 주차장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자율 주행의 기술 레벨이 높아지면 운전자는 이동 중에 자동차에 운전하는 공간이 아닌 다른 무언가를 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입니다. 자동차는 스마트폰보다 더 다양하고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디지털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는 상당히 매력적인 신규 매체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시스템의 경우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으므로 보다 엄격하게 제한할 필요가 있어 일부 예외적인 요소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에서 무선 업데이트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즉, 제어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반드시 정비소에 방문하여 진행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향후 운전 제어 시스템의 경우라도 기술을 발전시켜 안정성 및 신뢰성이 보장된다면 법규 개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입니다. 타이어 공기압, 엔진 성능, 마일리지 정보 등으로 실시간 차량 상태를 진단하고 전송하여 사전 예방적 정비에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차의 신뢰성 및 내구성 향상으로 차량의 잔존 가치와 수명을 늘려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운전자 개별 맞춤 업데이트

OTA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처럼 운전자 개별 맞춤 업데이트가 활성화될 것입니다. 운전 모드, 최대 마력, 연비, 헤드라이트 작동, 블랙박스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을 운전자가 선택하여 개별 업데이트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사람에 따라서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무선 업데이트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회의적으로 반응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OTA 기술의 미래는 어떻게 혁신하고 운전자에게 편의와 감동을 제공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현재의 자동차 정비와 소프트웨어 시장을 고려했을 때 아주 새롭고 성장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