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자동차 엔진 오일 선택 기준과 교환 주기

by Backtothe30 2022. 7. 20.

시중에는 많은 종류에 엔진 오일이 출시되어 있고 저마다의 장점을 듣다 보면 정신이 혼미해지고 선택에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오늘은 정말 간단하게 자동차용 엔진 오일 선택 기준을 설명하고 더불어 적절한 교환 주기도 설명하겠습니다.

어떤 엔진 오일을 고를까?

엔진 오일 선택 기준의 사실 어이가 없을 정도로 간단합니다. 차량 구매 시에 받는 오너스 매뉴얼에 있는 엔진 오일을 사용하면 됩니다.

이유

보통 디젤 엔진은 5W30 또는 5W40을 많이 사용하고 가솔린엔진은 5W20 또는 5W30을 많이 사용합니다. W 앞에 숫자는 저온에서의 오일 점도를 나타내고 뒤의 숫자는 웜업(Warm-up) 이후의 오일 점도를 나타냅니다. 다른 방식의 명기법도 있지만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저점도 오일을 사용하면 엔진 내부 부품의 마찰이 적어지고 움직임이 부드러워져 연비가 좋아질 수 있습니다. 점도가 높은 엔진 오일은 주로 고출력 엔진에 사용합니다.

하지만 오너스 매뉴얼에 명시된 바로 그 엔진 오일 사양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엔진 및 차량이 개발 시에 사용된 엔진 오일로 현재 차량 제어에 최적화되어 있고 내구 검증이 완료되었습니다.
2. 점도가 상이한 오일을 사용한 경우 엔진 내부 부품의 마찰의 과도한 감소 또는 증가로 엔진의 무리를 줄 수 있고 장기간 사용 시 엔진 손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3. 엔진에는 각종 센서류와 액추에이터가 붙어 있는데 고무 오링(O-ring)으로 씰링을 합니다. 고무 재질 및 압축률 등은 추천 엔진 오일에 최적화되어 있는데 특히 저점도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 누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자신의 차량의 맞는 엔진 오일 사양을 꼭 확인하고 어떤 유혹에도 굴하지 않고 그 엔진 오일만 넣는다면 장기적으로 부가적인 정비 비용 발생도 줄일 수 있습니다.

엔진 오일 교환 주기

엔진 오일 교환 주기에 대해서도 많은 의견이 있고 저마다의 방식이 있지만 결국 엔진 오일 사양과 동일하게 오너스 매뉴얼의 지침을 따르면 됩니다.

오너스 매뉴얼에 1만km로 많이 명기되어 있지만 엔진 사양별로 다르기 때문에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엔진 오일을 자주 교환하는 편에 속하고 미국 같은 경우는 엔진 오일을 교환하지 않아 엔진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엔진 오일은 실린더 폭발로 유발되는 피스톤 운동의 윤활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연소가스, 연료 등이 엔진 오일에 섞일 수 밖에 없고 주행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열화도 진행되고 엔진 오일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빨리 진행되는 것도 아니라서 너무 자주 갈 필요도 없습니다.

결론

엔진 오일과 교환 주기는 오너스 매뉴을 따르면 됩니다.

댓글0